Search

포털에서 '우리동네 뉴스' 만나기, 이번에 더 쉬워질까 - 한겨레

포털 ‘지역매체 특별심사’ 도입
9개 권역별로 1곳씩 제휴하기로…“포털 뉴스 다양성·지역성 확대”
네이버는 3곳→12곳 확대 예정…‘불투명한 밀실 결정’에 비판도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서울 바깥에 사는 지역 주민들이 포털에서 ‘우리 동네 뉴스’를 좀 더 쉽게 접할 수 있는 방안이 추진된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뉴스 제휴 심사를 담당하는 ‘네이버·카카오 뉴스제휴평가위원회 심의위원회’(이하 제평위)는 지난달 23일 열린 전원회의에서 ‘지역매체 특별심사’안을 의결했다. 중앙언론에 견줘 각종 자원이 열악한 지역언론이 뉴스콘텐츠 제휴 심사를 자력으로 통과하기 어려운 현실을 고려해 지역언론을 별도로 심사한다는 내용이다. 아울러 서울을 제외한 전국을 인천·경기권, 부산·울산·경남권 등 9개 권역으로 나누고 권역별로 1개 언론사를 선정하는 방안을 채택해, 포털 뉴스 이용자의 지역언론 선택권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만약 이번 의결안대로 지역언론사 9곳이 새로 포털에 진입할 경우, 네이버 모바일 뉴스콘텐츠 제휴사 73곳 가운데 지역언론이 차지하는 비중은 현재 4%(3곳)에서 16%(12곳)로 늘어난다.
‘지역 배제’ 논란 3년 만에 ‘특별심사’ 합의
‘포털이 지역언론을 차별한다’는 논란이 처음 떠오른 건 2018년 네이버의 모바일 개편 때였다. 당시 네이버는 모바일 첫 화면에서 뉴스를 빼는 대신, 이용자가 화면을 오른쪽으로 한번 넘기면 나오는 ‘뉴스판’에 언론사 44곳 가운데 이용자가 구독하는 언론을 노출하는 형태로 바꿨다. 여기에 지역언론은 단 한곳도 포함되지 않았다. 당시 네이버는 “지역언론을 일부러 배제한 게 아니”라고 해명했지만, 이를 계기로 언론시민단체·지역사회·언론학계·정치권에서 “포털 뉴스의 다양성·지역성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꾸준히 이어졌다. 포털 뉴스 제휴 심사를 맡는 제평위는 이러한 목소리에 응답하고자 내부에 지역언론 관련 태스크포스(TF)를 꾸려 대안을 모색해왔다. 하지만 언론계, 학계, 시민단체 등 여러 분야에서 추천받은 위원 30명으로 구성된 제평위는 1년에 한번씩 위원 3분의 1가량이 교체되는 구조여서 다수 위원이 합의하는 안을 도출하는 데 난항을 겪었다. 2019~2020년 사이 제평위에 참여한 위원 가운데 <한겨레>와 연락이 닿은 다수 위원은 “지역성을 더 확보해야 한다는 취지에는 모두 동의했지만, 세부 기준 마련에 들어가면 의견을 모으기가 쉽지 않았다”고 입을 모았다. 2019년 4기 제평위는 지역언론 할당이나 가산점을 주는 방안 등을 모색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뒤이은 5기 제평위는 뉴스 제휴 심사 때 지역언론의 경우 ‘사회적 가치성’ 항목에 최소 8점(10점 만점)을 주도록 위원들에게 ‘권고’하는 데서 마무리했다. 하지만 이러한 권고 뒤에 이뤄진 심사에서도 지역언론은 콘텐츠 제휴 심사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올해 3월 출범한 6기 제평위가 또다시 내부에 ‘지역매체 입점 기준 태스크포스’를 꾸리고 한층 적극적인 대안을 모색한 이유다. 티에프장을 맡은 오세욱 위원은 지역매체 특별심사안을 마련한 취지로 “국내 뉴스 유통 시장에서 전국매체는 지역민의 삶과 자기결정권에 기반한 민주적인 시민으로서 역할을 하는 데 있어서 충분히 많은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포털은) 지역언론이 발전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회를 부여해 여론의 다원화, 민주주의의 실현 및 지역사회의 균형 발전에 이바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특별 입점은 뉴스 ‘콘텐츠 제휴’ 심사로 진행돼 지역언론의 포털 노출이 더 확장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포털과 언론사의 뉴스 제휴는 크게 콘텐츠 제휴(포털이 언론사에 전재료·광고수익 등 대가를 제공하는 대신, 기사 노출은 언론사 누리집 연결 없이 포털 안에서 볼 수 있는 ‘인링크’ 방식), 검색 제휴(금전적 거래 없이 이용자를 언론사 누리집으로 연결하는 ‘아웃링크’ 방식) 두가지 형태로 나뉘는데, 모두 제평위의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검색 제휴만 보면 지역언론은 이미 네이버에서 16%(652곳 중 107곳), 카카오에서 29%(1180곳 중 344곳)를 차지하고 있다.
“권역 구분과 심사 기준 투명해야” 주장도
제평위는 아직 시행 일정이나 세부 기준을 공식 발표하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일부 언론을 통해 공개된 의결안을 두고 “포털의 불투명한 정책 결정의 문제점이 또다시 드러났다”는 비판이 나온다. 전국언론노동조합(언론노조)은 4일 성명을 내고 “9개 권역을 나누는 기준도 납득이 안 되지만, 이번에도 포털은 밀실에서 제평위의 이름으로 ‘치졸한 (지역언론) 갈라치기 정책’을 결정했다”고 비판했다. 언론노조는 또한 “현재 제평위원 30명 중에 지역언론에 정통한 인사는 극소수”라며 “지역언론 심사 기준과 항목, 지역민이 바라는 디지털 지역언론의 역할, 지역언론 노동자의 노동환경과 디지털 역량 등을 구체적으로 논의할 공개 토론회를 열자”고 제안했다. 이번 논의를 제평위의 근본적 역할을 재정립하는 기회로 삼자는 주장도 있다. 송경재 상지대 교양학부 교수는 “지역언론을 중앙언론과 동일하게 평가하는 건 지역언론이 손해를 볼 여지가 크기 때문에, 제평위가 지역언론에 대한 별도 심사를 하겠다고 결정한 것은 긍정적으로 본다”면서도 “근본적으로는 포털이 지역언론을 포함한 전체 언론에 문턱을 낮추고, 제평위는 제 역할을 못하는 언론사를 감시·퇴출하는 역할로 전면 전환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효실 기자 trans@hani.co.kr

Adblock test (Why?)

기사 및 더 읽기 ( 포털에서 '우리동네 뉴스' 만나기, 이번에 더 쉬워질까 - 한겨레 )
https://ift.tt/3b5ttns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포털에서 '우리동네 뉴스' 만나기, 이번에 더 쉬워질까 - 한겨레"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