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비롯한 감염병 사태에서 지속가능한 방역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역사회 보건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지난 9일 서울대 보건대학원이 진행한 ‘공중보건 위기대응체계 구축 연구’ 세미나에서 한림의대 예방의학과 김동현 교수는 ‘코로나19 대응 경험과 감염병 방역체계 개편의 우선순위’를 주제로 이같이 주장했다.
김 교수는 "실제 위기 상황에서는 현지에서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중요하다. 지역 단위로 기본 인프라를 갖추고 각 지자체가 건강과 질병 문제에 대한 책무성을 키워야 한다"며 "이를 위해선 시·도 내 보건의료 조직 역량 강화가 중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질병관리청이 이런 공중보건의 핵심 가치를 구현하는 정부 조직으로 발돋움해야 한다고 봤다. 이를 위해 질병청 산하에 공중보건연구원을 신설하고 광역시·도에 질병관리지청을 만들 것을 제안했다.
김 교수는 "서로 분절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임상과 방역 연구를 연계하는 조직이 필요하다. 질병청 산하에 공중보건연구원을 두고 연구·사업·교육을 통합해 근거기반 질병관리 정책과 사업을 주도해야 한다"며 "또한 공중보건연구원을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 보건 담당 부서를 강화하고 보건소의 역할을 확대해 지역중심 질병예방관리와 방역대응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런 공중보건 인프라 안에서 활동할 '공중보건전문가'로서 공중보건인력 양성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했다.
김 교수는 "의료인이 방역 체계에서 예방·진단·치료·예후관찰 분야를 맡는다면 공중보건전문가는 보편적인 건강 증진을 목표로 지역사회 전체를 관찰하고 진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면서 "이런 인력을 키울 수 있는 사회적 인프라가 갖춰져야 하고 이런 인력이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조직이 만들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선 무엇보다도 지속적인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속적인 사회적 투자 필요성을 제기했다.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해선 신속한 검사 능력과 이를 뒷받침하는 대규모 행정인력 동원을 통해 차단중심 방역 대응이 실질적 효과를 냈지만 피해 최소화 완화전략 구사가 늦었다고 평가했다.
김 교수는 "지난 1년을 복기하면 피해 최소화를 위한 정부 차원 대응이 굉장히 늦게 진행됐다. 위기가 닥치고 나서야 대응하고 사전 준비는 잘 되지 않아 2차, 3차 위기 과정에서 어려움이 컸다"며 "차단 대응으로 전염을 최대한 늦추는 동시에 의료 대응 역량을 키워 정상적인 의료시스템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나갔어야 했는데 우리나라는 방역 성공이라는 기억에 빠져 (차단 대응에)올인하다보니 이런 역량 자체를 끌어올리는 노력은 미진했다"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코로나19가 워낙 전 세계적인 위기 상황이라 국내에서 느껴지는 위기감이 상대적으로 덜할 수는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자체만 놓고 봤을 때도 엄청난 위기를 어떻게든 버텨내고 막아낸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언제까지 지금 같은 추적조사 체계를 유지할 수 있느냐에 대한 고민이 많았다"며 "확진자가 생기고 나서 행동에 들어가는 게 아니라 사전에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조사인력을 확대하되 얼마나 역량을 갖춘 인력을 현장에 배치하느냐는 고민이 선행돼야 한다"고 했다.
이와 더불어 감염병 사태를 생물학적이고 의학적인 측면은 물론 경제사회적 요인을 포함해 폭 넓게 해석하는 시각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건강보험료 수준에서 의료보호집단은 최상위 그룹보다 코로나19 사망률이 약 2.8배 더 높다. 농촌 지역 환자 역시 대도시 거주자보다 사망률이 1.9배 더 높다. 관리직보다 서비스직 등에 종사하는 직군이 위험에 더 노출된 것도 마찬가지"라며 "지난 수십 년 간 지속된 건강 격차 측면에서 보면 코로나19는 '기존에 보지 못했던 전혀 새로운 질환'이라 볼 수 없다"고 했다.
김 교수는 "마스크 착용이나 사회적 거리두기 등 우리가 아는 방역수칙은 감염병의 생물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만든 것"이라며 "공중보건적 측면에서는 그럼 왜 어떤 사람은 마스크를 쓰지 못하고 어떤 사람은 거리두기를 지킬 수 없는지, 왜 누구는 아파도 집에서 단 며칠조차 제대로 쉬지 못하는지, 우리 사회가 왜 이 수칙을 못 지키고 있는지 다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 및 더 읽기 ( "지속 가능한 방역은 지역사회 보건역량에서 나온다" - 청년의사 )https://ift.tt/3pArSME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지속 가능한 방역은 지역사회 보건역량에서 나온다" - 청년의사"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