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백신·친환경·유동성에…세계경제 코로나 '디플레'에서 이젠 '인플레'로 반전 - 한겨레

현대경제연 ‘글로벌 인플레이션 시대 도래’ 보고서
백신보급 ‘억눌린 수요효과’, 재정·통화확장 유동성
국제유가와 철광석·구리 원자재 가격 급등세
국제사회 저탄소 환경비용 증가…‘물가상승 압력’
지난 1년간 전세계가 코로나 팬데믹발 수요 위축 충격으로 디플레이션 우려에 빠져 있었지만, 최근에는 오히려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반전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28일 내놓은 ‘코로나발 글로벌 인플레이션 시대 도래’ 보고서를 보면, 미국의 최근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24%로 6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보고서는 “최근 미국·한국 등 일부 국가에서 소비자물가가 회복세를 보이고 주요국의 경기부양 정책 및 백신 보급 노력 등으로 세계경제에 회복 기대감이 고조되면서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고 진단하며, 4가지 요인을 짚었다. 우선 글로벌 주요국 통화량의 빠른 증가다. 미국의 통화량(M2·시중 유동성을 나타내는 통화지표)은 2019년 말 15조3천억달러에서 2020년 말 19조1천억달러로 약 24.6% 늘었다. 같은 기간 유로존·일본·영국의 통화량 증가율도 각각 11.0%, 9.2%, 14.9%에 이른다. 중국의 2020년 통화량은 한해 전보다 10.1% 증가해 2016년 이후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재정지출도 크게 팽창했다. 코로나 대응을 위한 추가 재정지출은 전 세계 기준 7조8345억달러로, 세계 GDP 대비 7.4%이다. 미국의 추가 재정지출이 3조5033억달러로 가장 많았다. GDP 대비 추가 재정지출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는 마카오(25.3%)다. 전 세계 유동성 지원규모는 6조414억달러로 GDP 대비 6.1%다. 일본이 유동성 지원 규모가 1조4280억달러로 가장 많았다.
코로나 백신 접종 진행과 집단면역 달성 기대감에 따라 글로벌 수준에서 억눌린 수요(pent-up demand)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미 투자은행 제이피(JP)모건의 글로벌 구매관리자지수(PMI·기업의 신규 주문·생산·출하·재고·고용 등의 지수)는 2020년 4월(26.2p)를 저점으로 2021년 1월 52.3포인트로 회복했다. 기준점(50포인트)을 상회해 경기 확장국면을 가리킨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기선행지수도 같은 기간에 92.2포인트에서 99.6포인트로 회복했다. 다만 여전히 기준점(100포인트)을 다소 밑돌고 있다.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계속 상승해 최근에 1.5%를 돌파한 것도 경기회복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다. 국제유가와 산업용 금속가격 등 원자재 가격도 급등하면서 비용인상 인플레이션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 국제 원자재 가격은 회복세를 지속해 최근 코로나19 위기 이전 수준에 도달했다. 세계 주요국의 경기 회복 및 중국의 수요 증가 등으로 최근에 철광석 가격은 8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로나 백신 보급 등으로 경기 회복 기대감이 일어나면서 구리 등 비철금속 가격도 급등하고 있다. 경제학자보다도 실물경제를 더 잘 예측해 이른바 ‘닥터 코퍼’(Dr.Copper·구리 박사)로 불리며 경기 선행지표 역할을 하는 구리 가격은 2013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시아르비(CRB)지수(곡물·원유·금속·귀금속 등 19개 주요 상품의 선물가격을 이용해 산출)는 지난해 4월 119.9포인트까지 급락했으나 지난 1월엔 173.9포인트까지 상승했다. 에스앤피(S&P) 골드만삭스 원자재지수(에너지·금속·농축산물 등 주요 24개 원자재 가격을 이용해 산출)도 같은 기간 258.8포인트에서 429.0포인트로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국제유가는 주요국의 경기 회복 및 미국 한파에 따른 공급차질 등으로 최근 서부텍사스산유(WTI) 가격이 배럴당 60달러를 돌파하는 등 코로나 위기 발생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고, 천연가스 가격도 2020년 2월 1MMBtu당 2.2달러에서 지난 2월 2.88달러로 상승해 코로나 수준을 상회하고 있다.
환경비용 증가도 물가 상승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그린딜(Green Deal) 예산으로 1조 유로를, 미국은 친환경·청정에너지 산업에 약 2조달러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보고서는 “국제사회의 저탄소 사회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업의 비용 부담 및 투자 확대가 물가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며, “탄소배출권 가격 상승, 탄소국경세 도입 및 친환경·저탄소 설비투자 확대 등으로 최종소비재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

Let's block ads! (Why?)

기사 및 더 읽기 ( 백신·친환경·유동성에…세계경제 코로나 '디플레'에서 이젠 '인플레'로 반전 - 한겨레 )
https://ift.tt/2P8nyWD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백신·친환경·유동성에…세계경제 코로나 '디플레'에서 이젠 '인플레'로 반전 - 한겨레"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