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정신건강 분야에서 디지털치료제의 역할과 한계는? - 청년의사

15일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의 미래와 공공의 역할, 디지털 시대의 정신건강' 심포지엄에서 정신건강  분야에서 디지털치료제의 역할과 방향성이 논의됐다(사진 출처: 정신건강센터 심포지엄 유튜브 영상 캡처).
15일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의 미래와 공공의 역할, 디지털 시대의 정신건강' 심포지엄에서 정신건강  분야에서 디지털치료제의 역할과 방향성이 논의됐다(사진 출처: 정신건강센터 심포지엄 유튜브 영상 캡처).

디지털치료제가 정신건강 분야 접근성은 높이고 치료 장벽을 낮추지만 의사의 역할을 한정짓는 역효과를 불러온다는 관측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환자와 의사 양 측면에서 디지털치료제 수용성을 높여야 한다고 했다.

지난 15일 국립정신건강센터가 주최한 '정신건강의 미래와 공공의 역할, 디지털 시대의 정신건강' 심포지엄에서 전문가들은 정신건강 분야에서 디지털치료제의 역할과 방향성을 논했다.

WELT 이유진 이사는 "앞으로 디지털치료제는 단순히 건강관리 차원을 넘어 진단부터 치료까지 그 스펙트럼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를 통해 정신건강 분야에 대한 진입 장벽이 낮아지는 접근성 향상 효과가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이사는 "처방이 필요한 디지털치료제 영역도 중요하지만 처방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영역 개발도 필요하다"며 "병원을 가야지만 처방을 받고 디지털치료제 사용을 시작할 수 있다면 여전히 좁은 범위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고 했다.

디지털헬스케어 파트너스 장진규 파트너 역시 "기존에 정신과적 치료나 상담을 받기 꺼려하던 사람들도 디지털치료제나 정신건강 관련 앱을 이용함으로써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다만 "단순히 디지털화하면 다 해결된다는 식으로 접근하면 안 된다. 환자들이 기술을 기꺼이 쓸 수 있도록 디지털 수용성을 갖춰야 한다"면서 "앱을 통해 정신과 치료나 상담을 받는 것이 다른 앱이나 디지털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한다"고 했다.

의사 관점에서 디지털치료제 수용성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세종충남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철현 교수는 현재 디지털치료제 형태가 의사를 단지 처방만 하는 행위자로 전락시킬 위험을 간과해선 안 된다고 했다.

조 교수는 "환자의 증상을 진단하고 병력을 고려해 약을 선택하고 용량을 정하고 조합하는 영역은 엄연히 전문가만의 영역"이라면서 "지금 'A 질병은 B치료제', 'C 질병은 D치료제'라는 식으로 질병 코드 기준으로만 가면 그냥 코드만 입력하고 끝나지 이 처방 과정에서 의사의 전문적인 식견이 개입할 여지가 없다. 치료제의 용량을 조정하거나 약제 간 조합 등을 고려해볼 여지가 사라진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같은 증상이라도 환자에 따라 치료 전략을 세울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며 "디지털 방식으로 치료 수단을 제공한다는 측면과 더불어 환자의 상태를 측정하고 해석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 의사의 인사이트를 돕는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CDSS)적 측면이 맞물릴 때 정신건강 분야에서 디지털치료제 안착도 더 수월하게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권준수 교수는 디지털치료제 활용과 범위에 대한 논의 수준을 더 발전시켜야 한다고 했다.

권 교수는 "좋은 '앱'을 만들면 된다는 공학적 접근이 환자에게 얼마나 도움이 되느냐는 또 다른 문제"라면서 "(디지털치료제 활용에 대해)누가 전문가로서 판단하고 어떻게 평가할지에 대한 가이드라인, 표준화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 법제도적으로 일정한 방향성이 없다면 혼란인 생기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했다.

아울러 "디지털치료제의 범위와 역할에 대한 컨센서스도 중요하다. 디지털치료제 분야 발전을 위해선 일반적인 처방 영역에 국한하지 말고 더 자유로운 방식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Adblock test (Why?)

기사 및 더 읽기 ( 정신건강 분야에서 디지털치료제의 역할과 한계는? - 청년의사 )
https://ift.tt/3lJIQrC


Bagikan Berita Ini

Related Posts :

0 Response to "정신건강 분야에서 디지털치료제의 역할과 한계는? - 청년의사"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